Network (2) 썸네일형 리스트형 URL과 URI의 차이 개발자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자주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url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웹에서 리소스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유사 개념인 uri 와 urn에 대해서는 생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념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정리해보려고 한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 상의 리소스를 지정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약자에 들어가는 locator 단어를 보면 유추 가능 하듯이 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아래의 형태로 이루어져있다. 프로토콜://호스트/리소스경로 URN (Uniform Resource Name) name 단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리소스의 이름을 나타낸다. url과 다르게 위치를 포함하지 않는다. 반대로.. 프로토콜(Protocol) 개념 정리 프로토콜이란? 컴퓨터 또는 전자기기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데이터의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통신 규약 기본 3요소 구문(Syntax) :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등을 규정 의미(Semantics) : 데이터를 해석 및 조작에 대한 조정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 규정 순서(Timing) : 통신 시 데이터 주고 받을 속도와 순서를 규정 기능 단편화 및 재조립 (Fragmentation and Reassembly) 단편화 - 송신 측에서 긴 데이터 블록을 쉽게 전송할 수 있도록 작은 단위으로 나누어 전송 재조립 - 수신 측에서 쪼개진 작은 데이터 블록을 재조립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 주소 설정 (Addressing) 각 전송계층에 맞는 주소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