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 썸네일형 리스트형 [Project] 나이스 페이먼츠 테스트용 전자결제 연동하기 (1) - 테스트 상점 개설하기 리액트 프로젝트에 나이스 페이먼츠 전자결제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 테스트용으로 간단하게 연동하는 과정을 정리하려고 한다. https://start.nicepay.co.kr/merchant/login/main.do 로그인 | 나이스페이 관리자 로그인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어요. 나이스페이 아이디가 없으신가요?회원가입 start.nicepay.co.kr 1. 나이스 페이 로그인 하기 먼저 나이스 페이먼츠 결제연동 사이트로 가 회원가입 후 로그인을 한다. 2. 상점 추가하기 로그인을 하면 아래 사진의 화면이 나타난다. 왼쪽 상점 추가를 누르면 테스트용 상점을 추가할 수 있다. 3. 테스트 상점 개설하기 상점 추가하기에서 테스트 상점 개설하기 클릭 후 상점 이름을 설정한 다음 추가하기를 클릭한다. 4. 테스트 상점.. URL과 URI의 차이 개발자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자주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url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웹에서 리소스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유사 개념인 uri 와 urn에 대해서는 생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념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정리해보려고 한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 상의 리소스를 지정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약자에 들어가는 locator 단어를 보면 유추 가능 하듯이 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아래의 형태로 이루어져있다. 프로토콜://호스트/리소스경로 URN (Uniform Resource Name) name 단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리소스의 이름을 나타낸다. url과 다르게 위치를 포함하지 않는다. 반대로.. CSR과 SSR 웹 개발자들이라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상식이지만 막상 내가 다른 사람에게 자세히 설명할 상황이 됐을 때 이에 대해 뭉뚱그려 알고만 있다는 걸 깨달았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 정리하며 다시 한번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해보려고 한다. SPA와 MPA CSR과 SSR에 대해 알기 전 먼저 SPA와 MPA에 대해 알아봐야 겠다. MPA 란? Multiple Page Application의 약자로, 여러 개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Application이다. 전통적인 방식으로서 새로운 페이지 요청 시 또는 새로고침 시 정적 리소스가 다운로드되며 전체 페이지가 다시 랜더링 된다. HTML 파일을 서버로부터 전달받기 때문에 크롤링하기 적합하여 SEO에 좋다. 또한 서버에서 렌더링 후 가져오기 때문에 첫 로딩이 짧.. 프로토콜(Protocol) 개념 정리 프로토콜이란? 컴퓨터 또는 전자기기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데이터의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통신 규약 기본 3요소 구문(Syntax) :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등을 규정 의미(Semantics) : 데이터를 해석 및 조작에 대한 조정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 규정 순서(Timing) : 통신 시 데이터 주고 받을 속도와 순서를 규정 기능 단편화 및 재조립 (Fragmentation and Reassembly) 단편화 - 송신 측에서 긴 데이터 블록을 쉽게 전송할 수 있도록 작은 단위으로 나누어 전송 재조립 - 수신 측에서 쪼개진 작은 데이터 블록을 재조립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 주소 설정 (Addressing) 각 전송계층에 맞는 주소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 이전 1 2 3 다음